근현대2 헌법개헌(1차 ~ 9차) 1차 헌법개정(발췌개헌) - 1952년 7월 7일 개헌 과정 제헌헌법의 변경된 대통령제는 국정의 불안정을 일으켰고, 국회를 경시하는 이승만 대통령과 야당간의 정치적인 투쟁이 계속되었다. 1950년 1월 28일에는 야당 의원들에 의해 의원내각제 개헌안이 제출되었지만 반대로 인해 부결되었다. 이어진 총선거에서는 야당이 압승했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정부가 부산으로 이전되고, 이승만 대통령은 비상계엄하의 통치를 계속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제도로는 이승만의 재선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정부는 1951년 11월 30일에 양원제 국회와 대통령직선제를 기본으로 하는 개헌안을 제출했지만 부결되었다. 야당은 1952년 4월 17일에 내각책임제 개헌안을 제출했다. 위기를 느낀 정부는 직선제 개헌안과 .. 2023. 12. 8. 현대사(이승만 ~ 노무현까지) 광복전 국제사회의 움직임이집트 카이로 회담(1943.11.)카이로 회담 은 1943년 11월 22일~26일 카이로에서 미국의 루스벨트, 영국의 처칠, 중화민국의 장제스 세 연합국 수뇌가 모여 열린 회담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에 대한 연합국의 대응과 아시아의 전후 처리 문제에 관해 협의했다. 최초로 대한민국이 독립을 국제적으로 보장얄타 회담(1945.2.) 신탁 통치 밀약(분단의 원인이 됨)포츠담 회담 (Potsdam Conference, 1945.7.) 미국, 중국, 영국, 소련 4국 참여, 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 요구 정책 결의, 카이로 선언의 재확인(한국의 독립 약속 재 확인)1945년 ~ 1948년(미군정)1945년 8월 15일 광복 한반도 내 일본군 무장해제를 목적으로 소련과 미군정의 3.. 2023. 12.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