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사시대3

1순위: 신석기시대로의 여행 신석기시대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석기의 영향으로 구석기시대와는 다른 의식주 생활 문화가 변화 발생 의(衣): 뼈바늘과 가락바퀴로 옷을 만들어 입었고, 그물을 만들어 사냥에 사용 식(食): '신석기 혁명'이라고 불리는 농경의 시작, 식물을 직접 재배(대부분 밭농사), 돼지나 사슴과 같은 동물 사육 주(宙): 먹을거리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강가 주변에 사는 것은 구석기시대와 비슷했지만 안정적인 형태의 집을 지어 생활, 땅을 둥그렇거나 네모난 형태의 모양으로 파 들어가 만듦, 불을 땐 흔적도 발견(난방과 음식의 조리) 신석기시대 토기의 변화: 이른민무늬토기-융기문(덧무늬)토기-눌러찍기(압인)무늬토기-빗살무늬토기 처음 혈연관계로 이루어졌던 무리는 다른 무리와의 결혼 등으로 많은 이들이 집을 짓고 모여 살면서 점차.. 2024. 1. 19.
구석기 시대로의 여행 구석기 (70만년 전 ~) 천천히 읽어 보세요. 마치 그시대로 들어간듯 읽어 보세요.구석기 시대는 수십만년을 내려오면서 천천히 발달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사람들은 동물의 뼈나 뿔로 만든 뼈 도구나 석기를 깨뜨려 뗀석기를 만들어 사용하면서 사냥과 채집을 하면서 생활하였다. 처음에는 찍개 같은 단순한 형태의 석기를 가지고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했으나, 점차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용도에 맞는 석기들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 중에서 주먹도끼, 찍개, 팔매돌 등은 사냥 도구이고, 긁개, 밀개 등은 대표적인 조리 도구이다. 찍개, 국립중앙박물관주먹도끼, 국립중앙박물관팔매돌, 대가야박물관 긁개, 국립중앙박물관밀개, 국립중앙박물관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자연 그대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 .. 2023. 12. 1.
1점(그냥 떠먹는) 선사시대와 고조선 1. 선사시대 1-1. 구석기시대(70만년전 - 1만년전) 특징: 오랜시간 시간이 지나면서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로 구분된다. 구석기와 중석기의 가장큰 특징은 기후 변화에 따른 도구의 변화이다. 사냥과 채집을 통한 이동 생활, 불 사용, 혈연 중심의 평등 사회, 동굴이나 막집, 바위그늘에서 생활, 주로 돌로 만든 뗀석기 사용 사냥용 뗀석기: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팔매돌, 슴베찌르개(구석기 후기에서 중석기) 요리용 뗀석기: 긁개, 밀개, 뼈 도구 중석기 뗀석기: 잔석기(화살촉) 유적지: 경기도 연천 전곡리(아시아 최초 아슐리안계 주먹도끼), 평남 상원 검은모루동굴(동물화석, 주먹도끼), 충남 공주 석장리(남 최초 구석기 유적),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어린아이-흥수아이 유골), 경기도 남양주 호평.. 202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