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시대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석기의 영향으로 구석기시대와는 다른 의식주 생활 문화가 변화 발생
- 의(衣): 뼈바늘과 가락바퀴로 옷을 만들어 입었고, 그물을 만들어 사냥에 사용
- 식(食): '신석기 혁명'이라고 불리는 농경의 시작, 식물을 직접 재배(대부분 밭농사), 돼지나 사슴과 같은 동물 사육
- 주(宙): 먹을거리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강가 주변에 사는 것은 구석기시대와 비슷했지만 안정적인 형태의 집을 지어 생활, 땅을 둥그렇거나 네모난 형태의 모양으로 파 들어가 만듦, 불을 땐 흔적도 발견(난방과 음식의 조리)
신석기시대 토기의 변화: 이른민무늬토기-융기문(덧무늬)토기-눌러찍기(압인)무늬토기-빗살무늬토기
처음 혈연관계로 이루어졌던 무리는 다른 무리와의 결혼 등으로 많은 이들이 집을 짓고 모여 살면서 점차 하나의 부족을 이루었고 생산물을 나누어 갖는 평등한 사회
신석기시대 생산 도구: 생업과 관련해 수렵구, 어로구, 채집 및 농경구, 벌채목 공구, 식량 처리구, 공구 등
[수렵구]
- 신석기 초기는 치밀한 석재(흑요석-깨졌을 때 날카로움)를 이용 깨뜨려 만든 것, 삼각형이며 밑이 오목하거나 뾰족하게 파여 있어 화살대에 장착하기에 용이
- 중기 이후 늦은 시기로 가면서 갈아서 만든 것이 일반화, 삼각형이거나 보트형. 이러한 수렵구는 주로 사슴이나 멧돼지 등 사냥
- 석창(石槍)은 육상 포유류 등을 사냥할 때 사용, 해안 지역에서는 대형 어류나 해수류 포획
[어로구]
- 낚싯바늘(축과 바늘을 별도로 제작하여 끈으로 결합한 결합식 낚시): 축부는 돌, 바늘은 사슴이나 멧돼지 등의 뼈
- 작살(석제와 골제): 석제는 주로 밑이 파인 삼각형으로 화살촉과 형태, 골제는 막대 모양의 끝에 미늘을 만들어 자루에 장착한 것으로 일반 창과 유사, 작살은 대형 어류, 바다 포유류
- 그물추: 자갈돌의 양쪽 끝을 떼어 내어 홈을 만들고 그물의 끝에 매달 수 있게 한 형태
- 석촉: 일반적인 활과 화살을 이용하여 표면에 있는 물고기나 해수류 등을 포획
[농경구]
- 채집 농경구: 돌을 신발 바닥 모양으로 편평하게 가공한 따비 형태의 굴지구가 발달, 조나 기장 등의 곡물을 심는 데 사용, 뿌리식물 채집에 사용, 집을 짓거나 구덩이를 파는 데 사용
[공구]
- 숫돌: 돌도끼나 화살촉, 창, 각종 골각기 등을 연마하는 데 사용
- 벌채목 공구: 양면에 날을 가진 도끼류
- 목공구: 한 면에만 날을 가진 것으로 자귀나 대팻날, 끌 등에 해당, 가옥용 목재, 각종 생활 용구 제작에 사용, 땔감의 확보, 삼림의 개간 등에 사용
[식량 처리구]
- 갈돌: 길고 넓적한 방망이 형태
- 갈판: 장방형, 신석기시대에 광범위하게 이용된 식량 처리구로 곡물 등의 제분, 껍질 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
- 공이: 대상물을 빻거나 깨뜨리는 데 사용
[의복 제작구]
- 가락바퀴(방추차): 가락바퀴는 원반형이나 주산알형, 원추형, 구형 등의 토제품 중앙부에 구멍을 뚫어 만든 것으로 가운데 막대기를 꽂아 섬유를 회전시키면서 길게 꼬아 실을 만드는 것
- 바늘과 바늘통, 삿바늘, 송곳, 실 등
- 신석기 시대에 이르러 나타나는 의류의 특징적인 변화는 직물의 사용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① 고인돌, 돌널무덤 등을 만들었다.
② 거푸집을 이용하여 청동검을 제작하였다.
③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④ 주로 동굴에 살면서 사냥과 채집 생활을 하였다.
⑤ 쟁기,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써서 농사를 지었다.
이른민무늬토기, 화살촉, 갈돌, 갈판 등으로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신석기관련 답을 찾는 문제
'선사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석기 시대로의 여행 (1) | 2023.12.01 |
---|---|
1점(그냥 떠먹는) 선사시대와 고조선 (1)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