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 중심의 업적)
조선건국(1392) 태조(1392 ~ 1398) 체제정비 : 한양천도(1394) : 경복궁, 4대문 건립, 정도(재상중심의 정치)전이 기본계획 수립 문물제도 : 조선 경국전, 불씨잡변, 경세문감, 삼봉집, 고려국사 경제육전(조준), 천상열차분야지도(천문관련그림, 권근) 대외관계 : 표전(외교문서)문제로 명과 관계 악화 요동정벌 시도 : 1차 왕자의 난(1398) 정도전, 방번, 방석 사망 정종(1938 ~ 1400) 2차 왕자의 난(1400) 방간, 박포와 방원과의 싸움 왕권강화 태종(1400 ~1418) 체제정비 및 공신숙청 : 6조직계제(왕중심): 6조 장관인 판서가 국왕에게 직접 보고 사간원 독립(대신견제) 사병혁파(공신숙청), 사원철폐 창덕궁 건립 경제와 사회(고려말 모순 해결) : 호패법, 양전..
2023. 12. 1.
조선시대 조세제도 이해하기
조선시대 3가지의 세금납부의 의무(세금납부의 의무는 평민만 해당) 전세(田稅) 과전법(전,현직 관리를 18개 등급으로 나누고, 경기지역에 한정해 과전에 대한 수조권 지급, 세습 불가(수신전-죽은 관료 아내가 재혼하지 않을 경우 지급, 휼양전-죽은 관료 어린 자식에게 지급) 직전법(세조, 현직관리에게만 수조권 지급, 수신전 유지, 휼양전 폐지): 퇴직 후 반납을 걱정한 관리들이 수조권을 남용 농장이 확대되는 폐단 발생 관수관급제(성종, 관리대신 지방관청이 세금을 거둬 관리에게 나눠 주는 제도) 관리들의 토지 소유욕 증대로 농장확대 및 소작농 증가 폐단 발생 직전법 폐지(명종, 녹봉 지급) 토지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토지수확량의 10%(농민이 수확물의 일부를 바침, 지주가 조의 일부를 국가에 바침) 세금으로..
2023.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