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가(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 청동기 시대 군장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모여 사는 군장국가(부여, 옥저)
- 철기시대 왕을 중심으로 한 국가들이 연맹체인 연맹국가(고조선, 부여, 삼한)
- 연맹국가에서 중앙집권국가(고구려, 백제, 신라)로 발전
부여
-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 위치하여 농경과 목축에 유리한 지형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특산물로 말·주옥·모피 생산하였다.
- 5 부족 연맹왕국 : 왕호를 사용하고 있으나 왕권은 미약하였다. 중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등 발전(1세기 초)했으나 선비족의 침략으로 쇠퇴(3세기말) 이후 고구려에 복속(5세기)됨.
- 왕이 있었으나 왕권 미약하여 제가들이 왕을 추대, 수해·가뭄에 왕에게 책임 추궁
- 왕이 직접 통치하는 중앙(수도)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나누어 다스렸다(사출도)
- 5 부족 연맹(마가, 우가, 저가, 구가)
- 순장 :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함께 묻음
- 4조 목의 법(고조선의 8조의 법과 비슷)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는다.
-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한다(1책 12법).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은 사형에 처한다.
- 소를 죽여 그 굽으로 점을 침
- 제천 행사: 영고(12월) - 수렵 사회의 전통
고구려
- 압록강 지류인 동가강 유역의 졸본(환인) 지방, 주몽이 건국(B.C. 37)
- 경제: 산악 지대 위치하고 있어 식량 부족하여 주변국을 약탈(정복 활동 활발)
- 정치: 정복 전쟁(평야 지대 진출)으로 국내성으로 천도
- 왕과 대가(상가, 고추가 등의 독립적인 족장) 지배하였고 사자, 조의, 선인의 관리가 존재
- 제가회의: 중대한 범죄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음, 감옥이 없는 특징
- 초기에는 5 부족 연맹왕국에서 중앙집권국가로 발전
- 한의 군현 공략하여 요동 진출, 옥저 정복
- 풍속으로 서옥제(혼인을 정한 뒤 신부 집의 뒤꼍에 조그만 집을 짓고 살다가 자식들이 크면 아내와 지식들을 데리고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제도, 3C 동천왕 이후 정착)
- 조상신 숭배(주몽과 유화 부인)
- 제천 행사: 동맹(10월)
※ 부여와 고구려의 공통점 : 장례를 후하게 치르는 ‘후장’ 풍습, ‘1 책 12법’, ‘형사취수제’
옥저
- 위치: 함경도(함흥 평야)의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선진 문화 수용 늦음, 고구려 압력
- 정치: 군장 국가(읍군, 삼로), 부여족의 한 갈래
- 경제: 바닷가를 끼고 있어 해산물 풍부(어물, 소금 등), 토지 비옥하였으나 고구려에 공납
- 풍속 : 민며느리제
- 가족 공동 무덤(골장제): 가족의 뼈를 추려 큰 목곽에 안치, 목곽 입구에 쌀 항아리를 매달아 놓는 것
- 민며느리제: 장래에 혼인할 것을 약속하면, 여자가 어렸을 때 남자 집에 가서 살림살이를 도와준 뒤 남자가 예물을 치르고 혼인을 하는 일종의 매매혼
동예
- 위치: 강원도 북부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선진 문화 수용 늦음, 고구려 압력
- 정치: 군장 국가(읍군, 삼로)
- 경제: 해산물 풍부, 토지 비옥, 방직 기술(명주, 삼베) 발달, 특산물(단궁 · 과하마 · 반어피)
- 풍속: 족외혼, 책화(다른 부족의 생활권 침범하면 노비 · 소 · 말로 변상)
- 제천 행사: 무천(10월)
삼한(마한, 변한, 진한)
- 위치: 한강 이남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의 발전으로 마한, 변한, 진한의 연맹체 등장
- 정치: 군장 국가(신지 · 견지 · 부례 · 읍차), 마한 목지국(진왕) → 삼한 전체 주도
- 제정 분리: 천군(제사장 -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 소도(종교 지역)
- 마한(54개국, 백제국)-백제, 변한(12개국, 구야국)-6가야 연맹 왕국, 진한(12개국, 사로국)-신라
- 경제: 철 생산(변한): 화폐로 사용하였으며 낙랑 · 왜 등에 수출함.
- 벼농사 발달: 철제 농기구 사용, 저수지 축조(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 제천 의림지), 두레 조직(공동 작업)
- 주거: 읍락 형성, 반움집, 귀틀집,
- 제천행사: 수릿날(5월), 계절제(10월)